맨위로가기

일본 해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해군성은 1872년 육군성과 함께 병부성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일본 제국 해군의 행정 기관이었다. 초기에는 군정과 군령이 분리되지 않았으나, 이후 참모 본부와 해군 군령부가 설치되면서 군령은 군령부가, 군정은 해군성이 담당하게 되었다. 해군 대신은 천황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해군의 군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20년대까지 해군성은 정치적 영향력에서 우위를 점했지만,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이후 해군 군령부와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1930년대 군국주의가 심화되면서 해군 군령부가 진주만 공격을 강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면서 1945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폐지되었고, 건물은 도쿄에 위치해 있었으나 1985년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기관 - 군령부
    군령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작전 지휘 및 국방 전략을 담당한 천황 직속 기관이었으나, 군국주의적 색채를 띠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폐지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관 - 해군항공본부
    해군항공본부는 일본 제국 해군 항공 분야를 통괄하기 위해 1927년에 설립되어 항공 전력 증강을 목표로 기술 개발, 자재 조달, 교육 등을 담당하다가 1945년 해군성 폐지에 따라 해산되었다.
  • 일본의 폐지된 중앙 성청 - 일본 철도성
    일본 철도성은 메이지 시대에 설립되어 교통통신부로 통합되기 전까지 일본의 철도 administration을 담당했던 행정 기관으로, 철도망 정비, 전기화 추진, 육상 교통 부문 관할 등의 사업을 수행했다.
  • 일본의 폐지된 중앙 성청 - 일본 육군성
    일본 육군성은 1872년 병부성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일본 제국 육군의 군정 기관으로, 초기에는 군정과 군령을 통괄했으나 이후 참모본부와 교육총감부 독립 후 군정 기관으로 기능하며 육군 대신은 정치적 권력을 행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되어 현재 일본 헌법에서는 부활하지 않았다.
  • 1872년 설립 - 옐로스톤 국립공원
    옐로스톤 국립공원은 미국 와이오밍주를 중심으로 몬태나주와 아이다호주에 걸쳐 있는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빼어난 지열 지형과 다양한 야생동물, 풍부한 생태계를 자랑하며 자연재해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 1872년 설립 - 도쿄 국립박물관
    도쿄 국립박물관은 일본 최대 규모의 박물관으로, 일본 및 동양의 미술품과 고고 유물 약 12만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시관과 시설을 갖춘 일본 미술과 문화 연구 및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일본 해군성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1890년경 해군성 건물
1890년경의 해군성 건물 (조시아 콘도르 설계)
종류정부 기관
관할일본 제국 해군
역사
설립일1872년 4월
이전 기관병부성
해산일1945년 11월
후신방위성
조직
본부도쿄시고지마치구가스미가세키
장관해군대신
초대 장관사이고 주도
마지막 장관요나이 미쓰마사
차관차관
초대 차관가바야마 스케노리
마지막 차관미토 히사시
내부 부국 (1940년 기준)군무국
병비국
군수국
인사국
교육국
조도국
경리국
의무국
주선국
함정본부
건축국
법무국
외곽 기관해군장관회의
해군기술회의
해군함정본부
해군항공본부
해군교육본부
수로부
해군고등군법회의
해군도쿄군법회의
해군대학교
해군병학교
해군기관학교
해군경리학교
해군군医学校
해군잠수함부
해군특공부
해군전파본부
해군시설본부
해군化兵戦部
해군운수본부
해군긴급전비촉진부
해군선박구난본부
연습연합항공총대
예산
회계연도1941년 (쇼와 16년)
연간 예산14억 9737만 4천 엔

2. 역사

1872년 2월, 태정관 포고 제62호에 의해 병부성에서 육군성과 함께 분리, 독립되었다. 초기에는 군정과 군령이 미분화되기도 했었지만, 일본 제국 헌법으로 정리되었다. 1886년 군령은 참모 본부가 흡수하였고, 1893년에는 해군 군령부가 최고 기관으로 설치되어 군령을 관할했다. 군무국을 중심으로 해군 정책, 군비, 인사 및 교육 등을 담당했다.[1]

해군성은 내각의 각료이며, 수장은 해군대신으로 천황이 임명하였다. 해군 대신의 직무는 해군 군인의 감독 등 해군 군정 관리였으며, 군령권은 가지지 않았다. 해군 대신은 현역 해군 대장 또는 중장이 임명되었다. 군축 회의 등으로 해군 장관이 장기간 일본 국내에 없을 경우, 총리가 겸임하거나 임시 해군 장관을 두었다.

1945년 11월 30일 칙령 제680호에 의해 폐지되어 제2복원성이 되었다.[2] 1946년 6월 제2복원성은 폐지되었고, 해군성 자산은 재경부로 일괄 정리되었다. 해군성 자료 일부는 방위성, 후생노동성으로 인계되었다.

건물은 도쿄도 지요다구 가스미가세키에 있었다. 조시아 콘도르 설계[3]1894년에 완성되어, 종전 후 점차 해체되어 1985년에 완전히 철거됐다. 현재는 후생노동성, 환경성 등의 기관이 있는 중앙합동청사 제5호관이 세워져 있다.

2. 1. 초기 (1872년 ~ 1893년)

1872년 4월 육군성과 함께 초기 메이지 정부의 병부성을 대체하기 위해 해군성이 창설되었다.[1] 태정관 포고 제62호에 의해, 1872년 2월에 병부성에서 독립했다.

초기에는 해군성이 일본 제국 해군의 행정 및 작전 지휘를 모두 담당했다. 그러나 1886년 발족한 참모 본부가 군령 기능을 흡수했고,[1] 1893년 5월 해군 군령부가 설치되면서 행정 기능만 남게 되었다.[1] 군령부는 최고 기관으로서 군령을 관할했고, 군무국을 중심으로 해군 정책·군비·인사 및 교육 등을 담당했다.

2. 2. 발전기 (1893년 ~ 1937년)

1893년 (메이지 26년), 해군 군령부가 최고 기관으로 설치되어 군령을 전담하게 되었다. 해군성은 군무국을 중심으로 해군 정책, 군비, 인사, 교육 등 군정 기능을 담당했다.[2] 해군대신은 천황이 임명하는 각료로, 해군 군정에 대한 관리 권한을 가졌으며, 현역 해군 대장 또는 중장이 임명되었다.[2]

1922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을 전후하여 해군성은 조약파, 군령부는 함대파로 나뉘어 대립하기도 했다. 일본 군국주의가 심화되면서 함대파는 점차 조약파를 제압하고 해군 군령부를 장악했으며, 해군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진주만 공격을 강행했다.

1937년 이후, 해군 대신과 해군 군령부 참모장은 모두 대본영의 구성원이었다.

2. 3. 쇠퇴기 (1937년 ~ 1945년)

1930년대에 일본 군국주의가 심화되면서 함대파는 점차 조약파를 제압하고 해군 군령부를 장악했으며, 해군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진주만 공격을 강행했다.[1]

1937년 이후, 해군대신과 해군 군령부 참모장은 모두 대본영의 구성원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패배하면서, 해군성은 1945년 11월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일본 제국 해군과 함께 폐지되었으며, 전후 일본 헌법에서는 부활하지 않았다.

2. 4. 해체 이후

1945년 11월 30일 칙령 제680호에 따라 해군성은 폐지되고 제2복원성이 되었다.[2] 1946년 6월 제2복원성은 폐지되었다. 이후 복원청, 인양 원호원 제2복원국, 인양 원호청 업무국, 후생성 인양 원호국, 원호국, 사회·원호국을 거쳐 2001년 중앙성청 개편으로 후생노동성 사회·원호국이 되었다. 현재는 후생노동성 사회·원호국에 원호 기획과 및 원호·업무과의 두 과가 설치되어 잔무 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해군성의 재산은 대장성국유 재산국 (현 재무성이재국)에 일괄 정리되었다. 해군성 자료 일부는 방위성방위연구소·후생노동성 사회·원호국 원호·업무과로 이관되었다.

3. 조직

1872년 2월, 태정관 포고 제62호에 의해 병부성에서 육군성과 함께 분리, 독립되었다. 초기에는 군정과 군령이 미분화되기도 했었지만, 일본 제국 헌법으로 정리되었다. 1886년 군령은 참모 본부가 흡수하였고, 1893년에는 해군 군령부가 최고 기관으로 설치되어 군령을 관할했다. 군무국을 중심으로 해군 정책, 군비, 인사 및 교육 등을 담당했다.

해군성은 내각의 각료이며, 수장은 해군대신으로 천황이 임명하였다. 해군대신의 직무는 해군 군인의 감독 등 해군 군정 관리였으며, 군령권은 가지지 않았다. 해군대신은 현역 해군 대장 또는 중장이 임명되었다. 군축 회의 등으로 해군 장관이 장기간 일본 국내에 없을 경우, 총리에 의한 겸임 및 임시 해군 장관을 두기도 했다.

1945년 11월 30일 《칙령 제680호》에 의해 해군성은 폐지되었고, 제2복원성이 되었다. (육군성은 제1복원성) 1946년 6월 제2복원성은 폐지되었고, 해군성의 자산은 재경부으로 일괄 정리되었다. 해군성 자료의 일부는 방위성, 후생노동성으로 인계되었다.

3. 1. 내국 (內局)

해군성 각 국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은 군무국장이었다.

; 군무국

군비, 국방, 복무, 조약, 예식 등 해군과 관련된 모든 제도를 분장한다.[5]

역대 군무국장
성명재직 기간
1가바야마 스케노리 중장1886년 1월 29일 - 1886년 6월 17일
2이노우에 요시카 소장1886년 6월 17일 - 1889년 3월 7일
제1국장
1이노우에 요시카 소장1889년 3월 8일
2이토 스케유키 소장1889년 3월 8일 - 1893년 5월 20일
군무국장
1이토 스에키치 중장1893년 5월 20일 - 1895년 3월 8일
2야마모토 곤노효에 소장1895년 3월 8일 - 1898년 11월 9일
3모로오카 요리유키 소장1898년 11월 10일 - 1900년 5월 20일
4사이토 마코토 소장1900년 5월 20일 - 1900년 10월 25일
5가미무라 히코노조 소장1900년 10월 25일 - 1902년 10월 29일
6데와 시게토 소장1902년 10월 29일 - 1903년 10월 27일
7나카미조 도쿠타로 소장1903년 10월 27일 - 1904년 2월 3일
8사이토 마코토 소장1904년 2월 3일 - 1905년 12월 19일
9가토 도모사부로 소장1905년 12월 19일 - 1906년 1월 8일
101906년 1월 8일 - 1906년 11월 22일
11다케토미 구니토미 소장1906년 11월 22일 - 1908년 5월 15일
12나카미조 도쿠타로 중장1908년 5월 15일 - 1909년 12월 1일
13도치나이 소지로 소장1909년 12월 1일 - 1912년 4월 20일
14에가시라 야스타로 소장1912년 4월 20일 - 1913년 1월 10일
15노마구치 가네오 소장1913년 1월 10일 - 1914년 4월 17일
16아키야마 사네유키 소장1914년 4월 17일 - 1916년 2월 21일
17스즈키 간타로 소장1916년 2월 21일 - 1916년 6월 23일
18오구리 고자부로 소장1916년 6월 23일 - 1916년 12월 1일
19이데 겐지 소장1916년 12월 1일 - 1920년 8월 16일
20호리우치 사부로 중장1920년 8월 16일 - 1922년 5월 1일
21오스미 미네오 소장1922년 5월 1일 - 1923년 12월 1일
22고바야시 세이조 소장1923년 12월 1일 - 1927년 3월 25일
23사코지 마사조 소장1927년 3월 25일 - 1929년 9월 6일
24호리 데이키치 소장1929년 9월 6일 - 1931년 11월 2일
25도요다 데이지로 소장1931년 11월 2일 - 1932년 5월 12일
26데라시마 겐 소장1932년 5월 12일 - 1933년 9월 15일
27요시다 젠고 소장1933년 9월 15일 - 1935년 12월 2일
28도요다 소에무 중장1935년 12월 2일 - 1937년 10월 20일
29이노우에 시게미 소장1937년 10월 20일 - 1939년 10월 18일
30아베 가쓰오 소장1939년 10월 18일 - 1940년 10월 15일
31오카 게이지 소장1940년 10월 15일 - 1944년 7월 18일
32오카 게이지 중장1944년 7월 18일 - 1944년 8월 1일
33다다 다케오 중장1944년 8월 1일 - 1945년 5월 15일
34호시나 젠시로 중장1945년 5월 15일 - 1945년 11월 17일
35야마모토 요시오 소장1945년 11월 17일 - 1945년 11월 30일



; 병비국

1940년(쇼와 15년) 11월 15일 발족. 국가 총동원·출사 준비·동원·생산 계획 등 전쟁 수행의 국가 계획을 분장한다. 1945년 3월 1일, 군무국에 통합되는 형태로 폐지.

역대 병비국장
성명재직 기간
1호시나 젠시로 소장1940년 11월 15일 - 1945년 3월 1일



; 의무국

의료 연구 및 위생 관리를 분장한다.

; 역대 의무국장

역대 의무국장
직책성명재직 기간
위생부장다카키 가네히로 군의총감1886년 1월 29일 - 1889년 4월 22일
해군 중앙 위생 회의 의장다카키 가네히로 군의총감1889년 4월 22일 - 1892년 8월 2일
해군 중앙 위생 회의 의장사네요시 야스즈미 군의총감1892년 8월 6일 - 1893년 5월 20일
해군 위생 회의 의장사네요시 야스즈미 군의총감1893년 5월 20일 - 1897년 4월 1일
의무국장사네요시 야스즈미 군의총감1897년 4월 1일 - 1905년 12월 12일
의무국장기무라 소스케 군의총감1905년 12월 12일 - 1915년 12월 13일
의무국장혼다 타다오 군의총감1915년 12월 13일 -
의무국장스즈키 유조 군의 소장1919년 12월 1일 -
의무국장히라노 이사무 군의 중장1923년 12월 1일 - 1925년 12월 1일
의무국장아마미야 료시치로 군의 중장1925년 12월 1일 -
의무국장오누키 야스조 군의 중장1927년 12월 1일 - 1929년 11월 30일
의무국장오가와 류 군의 중장1929년 11월 30일 - 1932년 2월 22일
의무국장고쿠후 타나카 군의 소장1932년 2월 25일 -
의무국장다카스기 신이치로 군의 중장1934년 11월 15일 -
의무국장나카노 타로 군의 중장1939년 11월 15일 -
의무국장다나카 히고타로 군의 중장1941년 10월 15일 -
의무국장호리 노부아키 군의 중장1943년 10월 25일 -
의무국장아리마 겐 군의 소장1945년 11월 29일 - 11월 30일



; 기관국

1916년(다이쇼 5년) 4월 1일 발족[5]。기관의 사용, 기관 장교 이하의 본무·교육에 관한 사항을 분장했다[5]1924년(다이쇼 13년) 12월 20일에 폐지[6]

; 역대 기관국장

역대 기관국장
성명재직 기간
이치카와 세이지로 기관중장1916년 4월 1일 - 1921년 9월 1일
후나바시 젠야 기관중장1921년 9월 1일 - 1923년 5월 25일
히라츠카 타모츠 기관중장1923년 5월 25일 - 1924년 12월 20일



; 건축국

외국의 「시설 본부」를 참조.

; 역대 건축국장

역대 건축국장
성명재직 기간
마지마 켄자부로 기술사1923년 4월 1일 - 1932년 6월
마에다 요이치 기술사1932년 6월 - 1933년 9월 14일
요시다 나오시 기술사1933년 9월 20일 - 1941년 7월 31일



; 법무국

해군 군인의 기강 유지, 군법회의 운영 등 법제도를 분장했다.

; 역대 법무국장

역대 법무국장
직책성명재직 기간
사법부장(겸) 이토 슌키치 주리·중장1897년 4월 1일 -
사법부장고모리자와 나가마사 주리1898년 10월 11일 -
사법부장토키 히로시 주리1899년 6월 30일 - 1900년 5월 20일
사법국장토키 히로시 주리1900년 5월 20일 -
사법국장(대우) 가토 토모사부로 소장1907년 5월 30일 - 1909년 12월 1일
사법국장(대우) 다카라베 타케시 소장1909년 12월 1일 -
사법국장우치다 시게나리 주리1913년 9월 30일 - 1916년 4월 1일
법무국장우치다 시게나리 주리1916년 4월 1일 -
법무국장야마다 사부로 법무관1925년 3월 16일 -
법무국장시오미 시게키 법무관1936년 3월 28일 -
법무국장오바타 요시즈미 법무관1941년 4월 1일 -
법무국장시마다 기요시 법무 소장1944년 11월 1일 -
법무국장유후 키쿠오 법무 소장1945년 11월 20일 - 11월 30일



3. 2. 외국 (外局)

해군성은 내부 부서 외에도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외부 기관을 두었다. 주요 외부 기관은 다음과 같다.

  • 회의
  • 해군장교회의
  • 해군기술회의
  • 해군고등군사회의
  • 해군도쿄군사회의
  • 본부
  • 해군교육본부 (1900년 5월 20일 설립, 1927년 내국 교육국으로 축소)
  • 해군선박구난본부 (1944년 12월 30일 설립)
  • 해군시설본부 (1941년 8월 10일, 건축부 확대)
  • 해군운송본부 (1943년 6월 25일, 내국 운송부 확대)
  • 해군전파본부 (1944년 4월 20일, 기술연구소 확대)
  • 해군함정본부 (1900년 5월 20일, 함정국 확대)
  • 해군항공본부 (1927년 4월 5일, 해군함정본부 제6부 항공부 확대)
  • 학교
  • 해군대학교
  • 해군병학교
  • 해군기관학교 (1944년, 병학교로 통합)
  • 해군경기학교
  • 해군군의학교
  • 부서
  • 긴급전비촉진부
  • 수로부 (1871년 9월 1일 설립)
  • 잠수함부 (1943년, 해군함정본부 제7부에서 전속, 1945년 특병부로 통합)
  • 특공부 (1945년, 특병부로 통합)
  • 특병부 (1945년, 잠수함부와 특공부 통합)
  • 화병전부
  • 연습연합항공총대
  • 해군고등군법회의
  • 해군도쿄군법회의
  • 해군 화학전부

4. 해군 대신

번호초상이름재임 기간내각
1
사이고 주도
西郷 従道|사이고 주도일본어
1885년 12월 22일1890년 5월 17일제1차 이토 내각
구로다 내각
제1차 야마가타 내각
2
가바야마 스케노리
樺山 資紀|가바야마 스케노리일본어
1890년 5월 17일1892년 8월 8일
제1차 마쓰카타 내각
3
니레 가겐오리
仁礼 景範|니레 가게노리일본어
1892년 8월 8일1893년 3월 11일제2차 이토 내각
4--사이고 주도
西郷 従道|사이고 주도일본어
1893년 3월 11일1898년 11월 8일
제2차 마쓰카타 내각
제3차 이토 내각
제1차 오쿠마 내각
5
야마모토 곤노효에
山本 權兵衞|야마모토 곤노효에일본어
1898년 11월 8일1906년 1월 7일제2차 야마가타 내각
제4차 이토 내각
제1차 가쓰라 내각
6
사이토 마코토
斎藤 実|사이토 마코토일본어
1906년 1월 7일1914년 4월 16일제1차 사이온지 내각
제2차 가쓰라 내각
제2차 사이온지 내각
제3차 가쓰라 내각
제1차 야마모토 내각
7
야시로 로쿠로
八代 六郎|야시로 로쿠로일본어
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제2차 오쿠마 내각
8
가토 도모사부로
加藤 友三郎|가토 도모사부로일본어
1915년 8월 10일1923년 5월 15일
데라우치 내각
하라 내각
다카하시 내각
가토 내각
9
다카라베 다케시
財部 彪|다카라베 다케시일본어
1923년 5월 15일1924년 1월 7일
제2차 야마모토 내각
10
무라카미 가쿠이치
村上 格一|무라카미 가쿠이치일본어
1924년 1월 7일1924년 6월 11일기요우라 내각
11--다카라베 다케시
財部 彪|다카라베 다케시일본어
1924년 6월 11일1927년 4월 20일가토 내각
제1차 와카쓰키 내각
12
오카다 게이스케
岡田 啓介|오카다 게이스케일본어
1927년 4월 20일1929년 7월 2일제1차 다나카 내각
13--다카라베 다케시
財部 彪|다카라베 다케시일본어
1929년 7월 2일1930년 10월 3일하마구치 내각
14
아보 기요카즈
安保 清種|아보 기요카즈일본어
1930년 10월 3일1931년 12월 13일
제2차 와카쓰키 내각
15
오스미 미네오
大角 岑生|오스미 미네오일본어
1931년 12월 13일1936년 3월 9일이누카이 내각
사이토 내각
사이토 내각
오카다 내각
16
나가노 오사미
永野 修身|나가노 오사미일본어
1936년 3월 9일1937년 2월 2일히로타 내각
17
요나이 미쓰마사
米内 光政|요나이 미쓰마사일본어
1937년 2월 2일1939년 8월 30일하야시 내각
제1차 고노에 내각
제1차 히라누마 내각
18
요시다 젠고
吉田 善吾|요시다 젠고일본어
1939년 8월 30일1940년 9월 5일아베 내각
요나이 내각
제2차 고노에 내각
19
오이카와 고시로
及川 古志郎|오이카와 고시로일본어
1940년 9월 5일1941년 10월 18일
제3차 고노에 내각
20
시마다 시게타로
嶋田 繁太郎|시마다 시게타로일본어
1941년 10월 18일1944년 7월 17일도조 내각
21
노무라 나오쿠니
野村 直邦|노무라 나오쿠니일본어
1944년 7월 17일1944년 7월 22일
22--요나이 미쓰마사
米内 光政|요나이 미쓰마사일본어
1944년 7월 22일1945년 12월 1일고이소 내각
스즈키 내각
히가시쿠니 내각
시데하라 내각



해군 대신기


법에 따라 해군 대신은 현역 제독 또는 중장 중에서 임명되었다.

5. 건물

조시아 콘도르의 설계[3]1894년에 완성되었다. 일본 해군에 공로가 있던 사이고 주도, 가와무라 스미요시, 니레이 게이한의 동상도 세워졌다.[4] 종전 후 점차 해체되어 1985년에 완전히 철거되었다. 현재는 중앙합동청사 제5호관(후생노동성, 환경성 등)이 세워져 있으며, 같은 관의 북동쪽 모퉁이에 해군성·군령부의 비석이 있다.

참조

[1] 문서 Spector
[2] 웹사이트 海軍省 https://kotobank.jp/[...]
[3] 서적 図面でみる都市建築の明治 柏書房 1990
[4] 서적 幕末維新 銅像になった人、ならなかった人 https://books.google[...] 交通新聞社 2016
[5] 간행물 海軍省官制改正ノ件 1916-03-31
[6] 간행물 海軍省官制中改正ノ件 1924-12-20
[7] 웹사이트 昭和18年6月(3)(海軍省) https://www.jacar.ar[...] アジ歴 2018-03-28
[8] 웹사이트 巻1/第1類 官制(1)(海軍省) https://www.jacar.ar[...] アジ歴 2018-03-28
[9] 웹사이트 大本営海軍部応急移転要員標準の件通牒 他 昭和20年6月22日~昭和20年7月28日 https://www.jacar.ar[...] アジ歴 2018-03-28
[10] 논문 2005
[11] 웹사이트 海軍電波本部令ヲ定ム https://www.digital.[...] アジ歴 2018-03-28
[12] 웹사이트 海軍省官制中ヲ改正シ海軍施設本部令ヲ定ム https://www.digital.[...] アジ歴 2018-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